강아지도 추위를 탈까요?
본문 바로가기
강아지 생활백서

강아지도 추위를 탈까요?

by 반려동물 생활백서 2023. 1. 5.
반응형

안녕하세요. 새해를 맞아 반려견을 키우고 있는 저뿐만이 아니라, 반려동물을 키우시는 분들 및 앞으로 키우고자 하시는 분들께 좋은 정보와 도움이 되고자 이렇게 글을 써보기로 마음을 먹었습니다. 많이 부족하겠지만, 최선을 다해 우리 반려동물들과 함께 더 좋은 생활을 해나갈 수 있는 정보를 공유하겠습니다.

 

첫 번째 글이자 첫번째 사진은 아무래도 제가 직접 키우는 반려견을 올리는게 의미도 있고 좋을거 같아서, 글을 보시는 여러분께 소개시켜드립니다. 이름은 해꼬이고 나이는 올해 12살이 되었습니다. 같이 한해 한해 보네다 보니 어느새 12년을 함께한 가족이며 저희집 막내딸 입니다. 우리 해꼬에게도 도움이되고 다른 강아지, 고양이 친구들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가 되기를 바라며, 열심히 작성해 보겠습니다.

 

추운 계절인 겨울이 오면 우리 반려동물들은 형형색색의 옷을 입게됩니다. 지금은 패딩부터 각종 발열기능이 있는 옷까지 다양한 종류의 옷이 있습니다. 1) 우리 반려동물들은 추운 겨울에 옷을 입히면 추위에 과연 도움이 될까? 2) 어떤 강아지에게는 입히는게 좋고, 어떤 강아지에게는 안 입히는게 좋을까? 3) 얼마나 추워져야 입히는게 좋을까?  오늘은 얼마나 추워져야 강아지에게 옷을 입혀야 좋을지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강아지의 추위에 대해서는 정말 의견이 다분합니다. 저희집 같은 경우는 마당에 풀어놓고 키워서 추울때는 보온을 해주기는 하지만 걱정되는거는 마찬가지입니다. 여기서 의견이 나눠지는데, 누군가는 반려견은 옷이 필요하다!! 또 누군가는 무슨 옷이냐, 털옷을 입고 있는데, 위 논쟁에 대한 정답은 강아지마다 다르다는 것 입니다. 왜냐하면 강아지가 소형견, 중형견, 대형견 그리고 털의 상태에 따라서 체온유지 할 수 있는 범위가 달라지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이중모를 가진 시베리안 허스키나, 샤모에드 같은 종들은 촘촘한 이중모 덕분에 비교적 추위를 덜 느끼게 됩니다. 하지만 치와와, 요크셔테리어, 말티즈 같은 소형견이나 그레이하운즈같은 대형견이지만 이중모가 아닌 종들은 쉽게 추위를 느끼게 됩니다. 소형견, 중형견의 날씨 안전 지표 1) 영상 4도 : 추위를 느끼기 시작하며 장시간의 외부활동은 위험할 수 있음. 2) 영하 6도 이하 :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온도/ 대형견의 날씨 안전 지표1) 영하 1도 : 추위를 느끼기 시작하며 장시간의 외부활동은 위험할 수 있음, 2) 영하 12도 :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온도 ▷ 결론은 강아지가 소형견, 중형견, 대형견 또는 단모종인지 장모종인지에 따라 모두 다르기는 하지만 우리 모든 강아지들 은 아무리 건강하여도 추위를 느끼며, 장시간 노출될 시 위험하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또 하나! 우리 반려견들은 산책이 필요하고 삶의 필수 요소입니다. 이럴때 고민되는 것은 아까 위 질문과 같이 언제 옷을 입히고 산책해야 하는 것 입니다. 1) 강아지 겨울 산책시 30분 ~ 1시간 정도 할떄 옷을 입혀야 할지 그냥 나가도 될까요? - 추위를 많이 타는 견종 ( 도베르만, 닥스훈트, 푸들, 미니핀셔, 치와와, 샤페이 등...) 싱글코트에 단모종 :위 같은 종들은 추운날씨를 막아주는 털의 용도가 아닌 자외선을 차단하는 용도가 더 주 용도이므로 추위를 많이타게 됩니다~! 그래서 당연히 옷을 입혀 추위를 막아주는게 좋습니다. 2) 추위를 비교적 덜 타는 견종 (말라뮤트, 허스키, 스피츠, 시바이누, 포메라니안, 셔틀랜드쉽독, 샤모예드 등...) 더블코트에 장모종 : 풍성한 이중모를 가지고 있어, 비교적 추위에 강합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종은 옷을 입히게 되면 오히려 체온유지를 함에 있어 보온효과 하락등 더 안좋은 효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풍성한 이중의 털 코트 사이에 따뜻한 공기층이 형성되어 외부의 습기 및 추위를 차단하는 효과가 있어, 아무리 추워도 1시간 이내는 충분히 산책이 가능합니다. 그럼 오늘은 반려동물이 얼마나 추워야 추위를 느끼는지에 대한 정보를 공유해봤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혹시라도 틀리거나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말씀 부탁드리겠습니다. 많은 소통과 관심 부탁드리며,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